목록타입변환 (2)
불로구

기본 타입에 타입 변환이 있듯, 클래스에서도 타입 변환이 있다! 이번 강의는 총 2편으로 놔누어 타입 변환과 다형성에 대해 알아보자! 다형성 - 사용 방법은 동일하지만 다양한 객체를 이용해서 다양한 실행 결과가 나오게 하는 자바의 성질을 의미한다 이 말의 의미는, 자동차는 어떤 엔진을 쓰냐에 따라 주행 속도가 달라진다는 말과 비슷하다! 다형성의 구현 방법 - 메서드 재정의 + 타입 변환 1) 자동 타입 변환 - 자동 타입 변환이란, 프로그램 실행 중 자동으로 타입을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. 이렇게 자식은 부모의 타입으로 자동 타입 변환을 할 수 있다. 자식은 부모의 특징과 기능을 상속받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것이다. class Product{ final public void..

타입 변환이란?! =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! 예를 들어볼까요? - byte와 int타입 기억나시죠? 서로다른 타입인 상태에서 byte타입을 int타입으로 변환하거나 int타입을 byte타입으로 변환하는 것이에요!! 1) 자동타입변환 자동 타입 변환은 작은 허용 범위 타입이 큰 허용 범위 타입으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것 입니다 byte < short < int < long < float < double ex) int타입이 byte 타입보다 허용 범위가 더 커서 자동 타입 변환! byte a = 10; int b = a; *** 정수 타입이 실수 타입으로 저장될 시 무조건 자동 타입 변환 발생!! *** (실수 타입은 정수 타입보다 허용 범위가 더 크다!) *** ch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