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전체 글 (163)
불로구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ZIBO/btqE1rL4mA4/vrcycHIG6dHZitk1T3Dqfk/img.png)
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해서 HTML 문서의 로드가 완료된 document에 새로운 HTML 태그를 추가할 수 있다. DOM 객체 동적 생성 - 키워드 : createElement() - document.createElement("태그이름")을 이용해서 HTML 태그의 DOM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. - DOM 객체를 생성했으면 innerHTML 프로퍼티를 이용해서 생성한 객체 태그에 HTML 텍스트를 삽입한다. - 또한, CSS3 스타일 시트도 설정할 수 있다. let newDiv = document.createElement("div"); newDiv.innerHTML = "새롭게 생성했다!"; newDiv.setAttribute("id", "Ndiv"); newDiv.style.backgroundCol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r5GP/btqE1u8S9jb/xvKeuA8vboKkKxO3RsK3k1/img.png)
인터페이스 - 개발 코드와 객체가 서로 통신하는 접점 역할 - 개발부에서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를 호출하면 인터페이스는 객체의 메소드를 호출 - 즉, 객체의 사용 방법을 정의한 타입이다 선언 public] interface 이름 { ... } 상수 필드 선언 - 인터페이스는 인스턴스 또는 정적 필드를 선언할 수 없지만 상수 필드는 선언이 가능하다. - 상수 필드는 모두 public static final의 특성을 가진다. - public static final을 생략하더라도 컴파일 과정에서 자동 생성 추상 메소드 선언 - 인터페이스에 선언된 추상 메소드는 모두 public abstract의 특성을 갖는다. - 그러므로 앞에 public abstract를 생략해도 컴파일 과정에서 자동으로 생성된다. -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4F6BV/btqEWBBidPv/0f18uZUyVh5eP4ADUQlthK/img.png)
추상 클래스 - 클래스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추출해서 선언한 클래스 추상 클래스의 용도 - 공통된 필드와 메소드의 이름을 통일 - 실체 클래스를 작성할 시 시간 절약 추상 클래스 선언 public abstract class A{ //필드 //생성자 //메소드 } package algo; abstract class Person{ String name; public Person(String name) { this.name = name; } public void run(){ System.out.println(name + "은 달립니다"); } } class A extends Person{ public A(String name) { super(name); } public void runfast(){ Sys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X7rW/btqEWAWDPf0/6PwKPn98Fn9qUPHdcmyRh0/img.png)
HTML DOM 객체 - 브라우저는 HTML 페이지를 로드하는 과정에서 각 HTML 태그를 하나의 객체로 만든다! - HTML DOM 이란 HTML 문서의 각 요소를 객체화한 것이다 - HTML 태그를 동적으로 제어하려면 HTML DOM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. DOM의 목적 - HTML 태그가 출력된 모양과 콘텐츠 제어 DOM 트리 - HTML 태그의 포함 관계에 따라 DOM 객체들을 트리 구조로 만든다. 이것을 DOM 트리라고 함 하이요~ 버튼1 버튼2 위 소스의 DOM 트리는 2번째 사진과 같다! HTML 태그마다 하나의 DOM 객체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고, HTML 태그의 포함 관계에 따라 DOM 객체들이 부모 자식의 계층 관계로 구성됨을 볼 수 있다. DOM 트리 특징 - DOM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