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전체 글 (163)
불로구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zTlm/btqEPVeVEP3/3ohcr1DR8MSQklNFnDsDE1/img.png)
JVM 이란? - Java Virtual Machine의 약자로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클래스 로더를 통해 읽어 API와 함께 실행한다. 또한 JAVA와 운영체제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여 운영체제에 독립성을 갖게 해준다! 자바는 JVM을 통해 메모리를 관리받는다! 메서드 영역 - JVM이 시작 시 생성되고 모든 스레드가 공유하는 영역! , 메서드 영억에는 코드에서 사용되는 클래스들을 클래스 로더로 읽어 클래스 별로 정적 필드와 상수, 메서드 코드, 생성자 코드 등을 분류해서 저장한다!\\ JVM 스택 영역 - 메서드를 호출 시 프레임을 추가하고, 종료 시 해당 프레임을 제거하는 동작! 즉, LIFO 형식이다! 힙 영역 - 객체와 배열이 생성되는 영역, 여기에 생성된 객체와 배열은 스택 영역의 변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CyCr/btqEQsXFWTt/y7lxC0yVmYiGx3uy7HE8ok/img.png)
자바는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으로 나뉜다!! 기본타입 : 정수, 실수, 문자, 논리 리터럴 참조타입 : 객체의 번지를 참조하는 타입 ( 배열, 열거, 클래스 , 인터페이스) 차이점? 기본타입은 실제 값을 변수에 저장하지만, 탐조 타입은 메모리의 번지를 변수 안에 저장!! 즉, 변지를 통해 객체를 참조하는 것이 탐조타입이다! int num = 200; // 기본타입 double num2 = 300.5; // 기본타입 String name = "홍길동" // 참조타입 int와 double 타입은 변수에 직접 값을 저장 String 클래스 변수인 name은 힙 영역의 String 객체 번지 값을 저장 * heap영역은 다음 포스팅 JVM에서 설명드릴게용~ 혹시나 궁금한 점은 댓글로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YBf7W/btqEPfSHGzS/DeDTarcCKkxQmAO1EAGlYK/img.png)
앞에서 배웠던 복문 for, while, do-while 기억하시나요?? 오늘은 실행을 중지하는 break에 대해 알아볼게요~ break : for, while, do-while, switch문에서 실행을 중지 할 때 사용 -> 반복문을 수행중 break문을 만나면 반복문을 빠져나온다 do-while문을 수행하다가 i값이 5보다 커지면 break에 의해 반복을 빠져나온다. 혹시나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!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x5WU/btqEPe0ybdd/wpXOpTNJLK0MEbEoX4NKZK/img.png)
이번에는 do-while문에 대해 알아보자! -> do-whild 문은 조건식에 의해 반복 실행하는 것은 while문과 동일하지만 "큰 차이점" 이 하나있다!! -> 바로 while문은 조건을 확인하고 ture일때 실행이 되었지만 do-while은 일단 한번 실행을 하고 밑에 while에서 조건을 확인한다! -> 즉, "아 몰라 일단 실행해~ 뒷일은 나중에 생각하고" 이거다!! -> do-while이 처음 실행되면 실행문을 실행한다 -> 실행문이 끝나면 while의 조건문을 확인한다 ->true면 계속 실행, false면 종료 -> sum의 값이 0으로 초기화 한 후, boolean 타입의 run변수의 초기값을 false로 지정했다 -> do while문이기 때문에 sum에 i가 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