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목록프로그래밍/알고리즘 (18)
불로구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AQHLr/btqERtBQ88V/Ib1J7PmqNtkhbznbC9Wxkk/img.png)
import java.util.Scanner; class People{ int kg; int height; int rank = 1; public People(int kg, int height) { this.kg = kg; this.height = height; } } 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canner s = new Scanner(System.in); int n = s.nextInt(); People[] p = new People[n]; for(int i=0; i
프로그래밍/알고리즘
2020. 6. 15. 01:19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niQy/btqEO0Iziae/Co1icZh7cEsaUN89ktePu1/img.png)
유클리드 호제란? - 2개의 자연수의 최대 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 1) 최대 공약수 구하기 -> 우선 A와 B라는 변수에 값을 받는다! -> gcd라는 메서드의 인자 값으로 A, B를 넘겨준다. -> B의 값이 0이 될 때까지 반복문을 통해 수행한다 -> mod라는 임시 변수를 생성해서 A / B를 한 나머지 값을 저장하고 -> A에 B의 값을, B에 mod 값을 저장시킨다 -> b가 0이 되면 result 변수에 a 값을 넣고 반환한다! 사진을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. 16, 24를 받아서 반복문을 통해 최대공약수를 찾아낸다 2) 최소 공배수 구하기 앞서 최대공약수를 구했다면 최소공배수는 쉽게 구할 수 있다! lcm이라는 최소 공배수를 구하는 메서드를 생성하고 지역변수 a,..
프로그래밍/알고리즘
2020. 6. 15. 01: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