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프로그래밍/코틀린 (18)
불로구
컬렉션이란 하나의 자료구조를 말한다. 이번에는 컬렉션의 가장 기본인 List, Set, Map을 알아보자 그전에 코틀린에는 변경이가능한 컬렉션과 변경이 불가능한 컬렉션으로 나누어진다. 1. Immutable Collection (변경 불가능) - 한번 선언하면 출력외에 변경이나 추가를 할 수 없다. 2. Mutable Collection (변경 가능) - 선언 후 추가와 같은 기능이 가능 List - 일반적으로 List는 ArrayList, LinkedList, Vector등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이건 자료구조 카테고리에 따로 포스팅 하겠습니다. - List는 객체를 일렬로 놓은 구조를 말합니다. - 각 객체들을 인덱스(index)로 관리를 하며 각 객체를 검색, 추가를 할때 사용됩니다. - 리스트는 객..
When - 함수처럼 인자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따라 조건을 처리할 수 있다. if(a > b){ println("zz") }else{ println("ss") } 우리가 늘 사용하던 if~else문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. 사용법을 알아보자 var a:Int = 1 for(i in 0 until 5 step 1) { when (a) { 1 -> { println("value is 1") } 2 -> println("value is 2") else -> { println("value is 3~n") } } a++; } 위 코드를 보면 a라는 Int타입 변수가 1로 초기화 되어있다. for문을 통해 5번동안 a의 조건에 따라 값이 나오게 했다. 먼저 첫번째는 a가 1이기에 1 -> {}가 실행되고 ..

코틀린은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모두 지원하는 다중 패러다임 언어이다. 함수형 프로그래밍 - 순수 함수를 작성하여 프로그램의 부작용을 줄이는 프로그래밍 기법 -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코드가 간략화되고 테스트나 재사용성이 더 좋아지면서 개발 생산성이 늘어난다. - 람다식과 고차 함수를 사용 순수함수란? - 부작용이 없는 함수를 말하며, 부작용이 없는 함수가 함수 회부의 어떤 상태도 바꾸지 않는 것 - 스레드에서 안전하고, 테스트를 수행하기 쉽다. - 순수함수 예제 fun sum(num1: Int, num2: Int):Int{ return num1 + num2 } - 일반함수 예제 fun check(){ val test = User.grade() //check() 함수에 없는 외부 함수 사용..

함수란? - 여러 값을 받아 기능을 수행하고 결과값을 반환하는 코드의 모음 fun main(){ println(sum(10,20)) println(hello("홍길동")) } fun sum(a: Int , b: Int): Int{ return a + b } fun hello(name: String): String{ return name + "님 안녕하세요" } - fun이란 키워드로 함수 선언 - (sum , hello) 자리에 이름 작성 - 인자값 정의 - 반환값 정의 - 함수 본문 작성 - 값 반환 함수 호출과 메모리 - 함수가 호출 될 때 메모리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자 fun main(){ var a: Int = 10 var b: Int = 20 var result = sum(a,b); pri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