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프로그래밍/JAVA (33)
불로구

이번에는 do-while문에 대해 알아보자! -> do-whild 문은 조건식에 의해 반복 실행하는 것은 while문과 동일하지만 "큰 차이점" 이 하나있다!! -> 바로 while문은 조건을 확인하고 ture일때 실행이 되었지만 do-while은 일단 한번 실행을 하고 밑에 while에서 조건을 확인한다! -> 즉, "아 몰라 일단 실행해~ 뒷일은 나중에 생각하고" 이거다!! -> do-while이 처음 실행되면 실행문을 실행한다 -> 실행문이 끝나면 while의 조건문을 확인한다 ->true면 계속 실행, false면 종료 -> sum의 값이 0으로 초기화 한 후, boolean 타입의 run변수의 초기값을 false로 지정했다 -> do while문이기 때문에 sum에 i가 가..

반복문 : 반복문이란 어떠한 작업이 반복적으로 실행되도록 할 때 사용되며, for, while, do-while문이 있다!! for문과 while문은 서로 변환이 가능하기에 편한것을 사용하면 되지만, while 과 do-while은 비슷해보이지만 차이점이 존재한다!! 오늘을 for문에 대해서 알아보자!! 초기화된 변수의 값이 조건식에 true일 경우 실행을 한 후 증감된다. 만약 조건의 false일 경우 반복문을 빠져나온다! i의 값이 1로 초기화 된 상태에서 sum이란 변수에 1을 더하고 i는 2가된다. 즉.. 10보다 작거나 같으면 i는 sum에 현재값을 더하고 1씩 증가한다 1+2+3+4+5+6+7+8+9+10 = 55 2중 for문을 이용하여 구구단을 만들 수 있다! 혹시..

스위치 문 switch문은 if문과 같이 조건 제어문이다. 다른 점이 있다면, 변수가 어떤 값을 갖느냐에 따라 실행문이 달라진다. 변수의 값이 1일 경우 - 실행 A 변수의 값이 2일 경우 - 실행 B 모두 아닐 경우 - 실행 C ***** switch의 장점 ***** if문은 경우의 수가 많아질수록 else-if가 반복적으로 추가되지만, switch문은 변수의 값에 따라 실행되므로 더 간결하다. 변수 s의 값이 "학생"이므로 2번째 case "학생"의 실행문인 1000원입니다가 실행된다.! 오늘은 여기까지! 혹시나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! 추천도서

1)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(?:)는 3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는 연산자이다! - ? 앞의 조건식에 따라 : 앞뒤의 피연산자가 선택된다 - score의 값이 80이상이면 A 아니면 B라는 조건식이다. *** 응용 *** 2) 조건문(if) 조건문은 조건식에 따라 다른 실행문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 조건문의 종류로는 if, switch가 있으며, 오늘은 if문에 대해 알아보자! - if문은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이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. 첫번째 그림 - if문의 조건식이 true이면 A실행 두번째 그림 - if문의 조건식이 true이면 A실행, false이면 B실행 세번째 그림 - if문의 조건식이 true이면 A실행, false이면 else if의 조건식으로 넘어옴, 이대 true면 ..